본문 바로가기
돈 되는 정보

자녀장려금 지급일, 신청 대상, 방법까지 간단하게.

by 만물상JN 2023. 8. 3.
반응형

아이가 태어난 다는 건 축복받아야 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다양한 이유로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부모로 사는 것보다 자신의 삶에 더 큰 가치를 두는 분들도 계시지만, 의외로 많은 분들이 경제적인 부분에 어려움을 호소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정을 이뤄 아이를 낳아 기르고 싶지만 자녀 육아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보니, 금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한층 커지는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나라에서도 출산, 육아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도하고 있는데요. 아이를 키워보면 가장 효과가 직접 체감되는 지원 사업에 장려금관련 프로그램만 한 게 없지 않나 생각됩니다.

오늘은 자녀 육아와 관련하여 큰 제약없이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녀장려금의 지급일, 신청 대상, 방법, 금액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녀장려금 정보 포스팅 섬네일 입니다.


목차

  • 1. 자녀장려금 신청 기준
  • 2. 자녀장려금 신청 방법
  • 3. 자녀장려금 지급일(예상 일정)

1. 자녀장려금 신청 기준

  A. 가구 구분

가구 구분 구성원
단독 가구 해당사항 없음
홑벌이 가구 18세 미만의 부양 자녀(필수 조건)
배우자 또는 70세 이상의 직계 존속이 모두 있거나 일부만 있는 가구
(배우자나 신청자의 총급여 금액이 300만원 미만이어야 함)
맞벌이 가구 신청자와 배우자 각각 총급여 금액이 300만원 이상인 가구

 

자녀장려금 신청 대상이 되는 가구 구분은 앞서 포스팅한 근로장려금과 동일한 조건을 갖습니다.

단, 자녀장려금이기 때문에 당연히 부양자녀가 필수로 포함되어야 하는데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단독 가구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2023년 8월 3일 기준 적용 기준은 위 표와 같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자녀장려금 신청 가능 가구 유형 바로가기


 B. 가구 총소득 금액과 자녀장려금 최대 지급액

가구 구분 총소득 금액 자녀장려금 최대 지급액
단독 가구 해당사항 없음
홑벌이 가구 4,000만원 미만 자녀 1명당 최대 80만원
(최소 50만원)
맞벌이 가구

 

가구의 총소득 조건은 홑벌이, 맞벌이 가구 모두 4,000만원 미만으로 동일합니다. 

또한 자녀장려금의 최대 지급액 역시 동일한데요. 자녀 1명당 최대 80만 원, 최소 50만 원으로 적어도 50만 원을 기본으로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신 가구 구분에 따라 최대 금액을 지원 받을 수 있는 기준 총소득 금액이 달라지는데요. 홑벌이2,100만원 미만일 때, 맞벌이2,500만원 미만일 때 최대 지급액인 80만원을 수령할 수 있고, 총소득액이 높아지면 그에 따라 지급액이 차등 지급 됩니다. 물론 총소득 금액이 4,000만 원 이하라면 자녀 1명당 50만 원 이상을 모두 지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녀장려금 소개 페이지 바로가기

 

국세청

국세청

www.nts.go.kr


 C. 가구 총 소유 재산

가구의 총 소유 재산 요건도 근로장려금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받습니다. 현재 가구가 소유하고 있는 총 재산(주거 관련 전세금액 포함)의 합계가 2억 4천만원 미만일 경우에만 자녀장려금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PC를 이용한 홈택스에서는 근로장려금 반기에 대한 계산기만 제공되고 있는데요.

모바일 손택스로 접속하시면 자녀장려금 지급액을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2. 자녀장려금 신청 방법

 A. 신청 방법

 a. 신청 안내문을 문자/카톡으로 받은 경우

 전화 ARS나 PC의 홈택스, 모바일의 손택스 앱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 전화 ARS는 1544-9944로 전화 > 1번을 누르시면 장려금 항목으로 연결 >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버튼 > 개별인증번호 8자리를 입력하고 #버튼 > 동의 확인 후 1번 누름 > 연락처와 계좌번호를 확인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 PC 홈택스 사이트로 로그인 > 신청/제출 항목에서 근로/자녀장려금 신청하기 메뉴의 간편 신청하기 클릭 > 신청요건을 확인 > 연락처와 계좌번호를 입력하면 손쉽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 모바일 손택스 앱 실행 >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터치 >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 7개와 개별인증번호를 입력 > 연락처와 계좌번호를 확인하면 신청 완료됩니다.

 

 - 다 어렵고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 싶으시면, 근로,자녀장려금 전화신청 대리도 가능합니다. 정기 신청기간에 1566-3636으로 전화하시면 모든 신청과정을 대리로 진행받으실 수 있습니다.


 b. 신청 안내문을 받지 못한 경우

신청서를 받지 못하셨다면 홈택스나 모바일 손택스 앱에서 a와 동일하게 신청하실 수 있는데요. 다만 개별인증번호가 없기 때문에 일반신청하기를 통해 신청요건을 확인한 후 순서에 따라 인적사항, 소득명세서, 전세금 명세서등을 추가로 작성해야 합니다.


 B. 신청 기한 (2023년 기준)

기준 날짜
22년도분 정기 신청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기간 종료)
22년도분 기한 후 정기 신청 2023년 6월 1일 ~ 11월 30일

자녀장려금의 신청 기한, 기간은 근로장려금과 달리 반기 신청 없이 정기 신청만 가능합니다.

다만 기한내 정기 신청2023년 5월 31일부로 종료되어 기한 후 정기 신청만 가능한데요.

정기 신청과 동일하게 지난 1년의 근로기간을 기준으로 산정하여 장려금을 지급받게 되지만, 10%를 차감한 90%만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물론 기한 후 신청 가능 기간마저 놓칠 경우, 90%도 받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자녀장려금 신청 자격을 갖추신 분들이라면 잊지 말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3. 자녀장려금 지급일(예상 일정)

내역 2021년 지급일 2022년 지급일 2023년 지급 예정일
자녀장려금 정기 신청 2021년 8월 19~28일
(순차 지급)
2022년 8월 26일 2023년 9월 말
자녀장려금 기한 후 신청 신청 후 2~4개월 후 지급(2~3개월 사이에 받는 경우 많음)

 

자녀장려금의 지급일은 근로장려금과 동일하게 예상 일정으로만 공지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난 장려금 지급 일정을 기준으로 추정해 보는 정도로 파악하실 수 있는데요. 2021년도에는 8월 19일부터 28일까지 순차적으로 지급이 되었고, 지난 2022년에는 8월 26일 조기 지급되었다고 합니다. 즉, 올해 역시 9월 말 예정이나 이르면 8월 말에도 받아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녀장려금에 대한 신청 대상(조건), 방법, 기간, 지급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정기 신청기한을 놓친 분들이 계시다면 지금이라도 신청하셔서 생활에 보탬이 되는 지원금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혹시 자녀장려금의 짝궁인 근로장려금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근로장려금에 대해서도 알아보기

 

근로장려금 지급일, 신청 기준, 방법, 기간(반기)까지 확인하세요

근로장려금은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근로연계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득이 적은 근로자, 사업자(전문직은 제외입니다) 가구를 지원금을 지원해주는 제

jbmms.tistory.com

 

반응형